교수요목(2024학년도)
연번 | 학수번호 | 과목명 | 요목 |
---|---|---|---|
1 | DIGB121 | 프로젝트학기Ⅰ | "정규학기 중 한 학기 동안 기존의 수업 대신 영역의 제약 없이 학생 스스로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창의적이고, 전공과 융합된 과제를 설계하여 이를 수행 학생들의 도전의식을 고취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 진로 선택의 폭 확대에 기여" |
2 | DIGB122 | 프로젝트학기Ⅱ | "정규학기 중 한 학기 동안 기존의 수업 대신 영역의 제약 없이 학생 스스로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창의적이고, 전공과 융합된 과제를 설계하여 이를 수행 학생들의 도전의식을 고취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 진로 선택의 폭 확대에 기여" |
3 | DIGB123 | 프로젝트학기Ⅲ | "정규학기 중 한 학기 동안 기존의 수업 대신 영역의 제약 없이 학생 스스로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창의적이고, 전공과 융합된 과제를 설계하여 이를 수행 학생들의 도전의식을 고취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 진로 선택의 폭 확대에 기여" |
4 | DIGB124 | 프로젝트학기Ⅳ | "정규학기 중 한 학기 동안 기존의 수업 대신 영역의 제약 없이 학생 스스로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창의적이고, 전공과 융합된 과제를 설계하여 이를 수행 학생들의 도전의식을 고취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 진로 선택의 폭 확대에 기여" |
5 | DIGB125 | 프로젝트학기Ⅴ | "정규학기 중 한 학기 동안 기존의 수업 대신 영역의 제약 없이 학생 스스로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창의적이고, 전공과 융합된 과제를 설계하여 이를 수행 학생들의 도전의식을 고취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 진로 선택의 폭 확대에 기여" |
6 | DIGB171 | 인공지능과경영 | 본 강좌는 빅데이터의 개념, 인공지능의 개념, 그리고 인공지능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빅데이터의 경영 분야로의 활용 사례, 인공지능의 경영혁신 성공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경영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 및 창의 융합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과목이다. |
7 | DIGB173 | 디지털비즈니스의이해 | 현대 모든 기업은 사업 목적을 위해 모든 직원과 관리자에게 정보 기술과 시스템을 준비하여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제공되는 중요한 도구로써 신제품 개발과 새로운 서비스의 창출, 보다 나은 의사 결정, 비교 우위를 위해 정보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지를 이해하도록 한다. |
8 | DIGB174 | 디지털경영수학 | 미적분, 선형대수, 통계에 대한 기본 개념과 원리를 학습한다. 디지털경영 분야의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을 배양한다. |
9 | DIGB216 | 디지털비즈니스기술 | 이 과목에서는 디지털 비즈니스나 다른 산업에서 선진 기업들이 개발하거나 도입하고 있는 핵심기술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기술들이 제공하는 새로운 사업기회를 살펴본다. 각 개별 기술에 대해 관련 기업들을 파악하고, 그들이 어떻게 이러한 기술들을 사용하는 지에 대해 관련 기업들을 파악하고, 그들이 어떻게 이러한 기술들을 사용하는 지에 대해 살펴본다. |
10 | DIGB217 | 응용경영통계 : R을활용한다변량분석 | 본 과목은 경영학과 학생들에게 통계학의 기본 원리를 가르치고, 경영·경제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다변량 분석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Excel과 R을 활용한 실습을 통해, 학생들은 통계학 지식을 실제 사례 및 데이터에 적용하는 경험을 쌓으며, 이를 통해 실무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하고자 합니다. 학생들은 경영·경제 분야의 사례 및 데이터를 직접 다루어 봄으로써, 관련한 경영·경제 이론뿐만 아니라 관련 데이터의 수집 및 활용에 대한 경험도 얻을 수 있습니다. |
11 | DIGB222 | 인터페이스설계 | 사용자가 IT시스템을 손쉽게 활용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개념과 기법을 다룬다. 즉, 사용자인 인간의 특성을 살펴보고, 인간의 특성에 맞춘 도구로서의 IT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해야 할 것인지를 다룬다. 아울러 실제 시스템을 선정하여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고 재설계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12 | DIGB224 | 디지털혁신과전략 | 디지털은 기술적인 enabler로서 이해되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어떻게 비즈니스와 고객에게 가치를 창출하는 가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조사되어야 할 혁신기술이다. 디지털 기술이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는 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비즈니스에서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본 과목에서는 디지털 혁명의 핵심에 있는 이러한 혁신기술들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다양한 산업분야의 가치사슬을 살펴보고 디지털 기술이 어떻게 개별 기업들의 역할을 변화시키고 있는 지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
13 | DIGB225 | 머신러닝 | 본 과목은 경영학과 학생들에게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가르치고, 경영 분야에서 다루는 다양한 데이터에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ython을 활용한 실습을 통해 데이터 특성에 알맞은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적용하는 문제해결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아가 경영학에서 머신러닝이 어떻게 의사결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지 배울 수 있다. |
14 | DIGB226 | 딥러닝을활용한자연어처리 | 딥러닝을 활용한 자연어 처리(NLP)는 학계와 산업 모두에서 점점 더 중요한 분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데이터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지능혀 시스테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학생들이 이러한 도전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과목은 딥러닝을 활용한 자연어 처리의 이론적 기초와 실제 문제에의 실용적 응용 사이의 간극을 메워, 그리고 관련 분야에서의 경력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
15 | DIGB231 | 시스템분석및설계 | 조직에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 이론, 분석의 개념 및 방법론을 익히며 정보기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업무 프로세스를 재설계하기 위한 기본 개념을 학습한다. 아울러, 실제 조직을 선정하여 UML(Unified Modeling Language)를 적용하는 프로젝트 |
16 | DIGB241 | 디지털마케팅 | 이 수업은 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채널들이 등장하는 디지털 환경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채널 (예, 페이스북, 구글 등)에 특화된 마케팅 전략과 성과 측정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
17 | DIGB242 | 모바일마케팅 | 이 과목은 모바일 채널에 특화된 마케팅 전략과 성과 측정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특히 모바일 앱에 특화된 사용자 확보와 성과 분석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
18 | DIGB243 | 디지털디자인사고 | 디자인 사고의 개념과 디지털 비즈니스에서의 역할에 대해 학습한다. 디지털 상품이나 서비스의 개발에 있어 사용자 중심 설계와 사용자 경험의 개념을 익히고 적용한다. |
19 | DIGB244 | 디지털창업 | 이 과목은 디지털 비즈니스를 창업하는데 필요한 기초 개념과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 일반 비즈니스 창업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비교한다. |
20 | DIGB246 | 디지털비즈니스모델 | 이 과목에서는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사고하는 체계적인 방법에 대해 배우고, 연습 및 사례를 통해 어떻게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고 어떻게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지에 대해 배운다. |
21 | DIGB249 | 데이터베이스설계 | Database 구축을 위한 모델링 개념과 방법을 소개하고 과제를 수행한다. 개념모형, 논리모형, 물리모형을 이해하며 주어진 과제에 대입하여 실질적인 database를 개발하도록 함으로써 조직에서 바로 적용할 능력을 배양토록 한다. |
22 | DIGB251 | 파이썬을활용한BusinessDataAnalytics | 본 과목의 수강생들은 수업과정 중에 학습한 다양한 데이터분석도구들을 파이썬과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코딩한 기본 프로그램들에 대하여 학습하고 향후 독자적으로 데이터분석도구들을 실제 기업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실행력을 갖추게 될 것임. |
23 | DIGB331 | 공급망관리 | 조직내 물류를 포함하여 고객, 공급업체, 협력업체간 물류의 유출, 유입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개념 및 실무에 대해 학습한다.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SCM을 통해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하여 상품의 가치를 높이고, 수익성을 높이는 방안을 탐구한다. |
24 | DIGB334 | 지식경영 | 정보화 사회가 진전되면서 지식 경영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지식기반 경제, 지식창조 경영의 이론과 실제를 조사하고, 지식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활용되는 지식경영 시스템의 구축에 대해 알아본다. 새로운 경영환경에 걸맞게 능동적으로 변화하는 데 필요한 제반 조건의 탐구도 이루어진다. |
25 | DIGB335 | 오퍼레이션즈애널리틱스 | 본 과목은 학생들에게 데이터 기반 분석 기법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다룬다. 특히,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해보는 실습을 포함한다. |
26 | DIGB336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본 과목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자료구조와 체계적인 사고방식에 대해 학습한다. 배열, 리스트 등 기본적인 자료구조를 익히고, 정렬, 색인 등 문제 해결에 유용한 도구와 사고방식에 대해 배움으로써, 학생들이 복잡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데 주안점을 둔다. |
27 | DIGB337 | 경영계량분석 | 본 과목은 갈수록 복잡하고 고도화되는 기업 환경에서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활용되는 계량적 방법론에 대해 다룬다. 학생들은 의사결정분석, 시뮬레이션, 예측 분석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법을 통해 생산, 물류, 재무 등 경영 전반에 효과적 의사결정 지원 방법에 대해 학습하게 된다. |
28 | DIGB338 | 경영과학 | 본 과목은 기업 경영의 문제를 계량적으로 모델링하여 최적의 대안을 도출하는 방법론을 다룬다. 주요 학습 내용으로는 선형계획모형, 정수계획모형, 수송 및 배정 문제, 네트워크 모형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법들은 생산, 물류, 금융,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학생들은 이 과목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적용가능한 분석 역량을 습득할 수 있다. |
29 | DIGB341 | 디지털창업과자금관리 | IT 및 모바일 기술 기반을 활용한 소기업 창업에 필요한 자금조달 및 자금관리에 대한 핵심 이론과 실무 지식을 학습한다. |
30 | DIGB342 | 디지털창업과지적재산권 | 디지털 창업에서 지적재산권의 중요성과 세계적인 추세에 대해 학습한다. 지적재산권의 유형과 확보하기 위한 절차에 대해 익힌다. |
31 | DIGB343 | 비즈니스분석과BI | 글로벌 사업환경 하에서 성공적으로 다른 조직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운영, 관련 업계 및 전체 비즈니스 환경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과목은 성과평가부터 동향분석, 정책 결정에 이르는 기업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비즈니스 인테리젼스에 중점을 둔다. |
32 | DIGB344 | 마케터를위한데이터분석 | 이 수업은 마케팅의 전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마케팅 데이터 처리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마케팅 퍼포먼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개선하는 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채널 선택과 잠재 고객 타겟팅 등 마케팅 성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배운다. |
33 | DIGB345 | 마케터를위한데이터분석심화 | 이 교과목은 마케터를 위한 데이터분석 과목의 심화과정으로서 마케팅 데이터 분석을 위한 심화된 다양한 데이터 분석 기법들을 배우고 이 기법들을 활용한 실제 기업 및 시스템 사례들을 살펴본다. |
34 | DIGB352 | 디지털비즈니스캡스톤디자인I | ‘디지털 비즈니스 캡스톤 디자인Ⅰ’은 종합 설계 과목으로 실제 현장에서 접하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학부에서 배운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제품을 기획, 설계, 제작, 평가하는 전 과정을 경험하게 하는 교과목이다. 캡스톤 디자인 과목의 교육 목표는 창의력 향상과 현장 적응력 제고를 통하여 현장실무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35 | DIGB353 | 디지털비즈니스캡스톤디자인Ⅱ | 디지털 비즈니스 캡스톤디자인 Ⅱ은 문제의 도출부터 구체적인 해결방안 제시까지의 과정을 학생들이 직접 실습해보는 수업이다. 문제 정의부터 개념 설계, 제작, 실험 및 결과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통해 최적의 결론을 도출해내는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산업체에 필요한 인재 |
36 | DIGB362 | 빅데이터기술 | 빅 데이터 주요기술을 중심으로 주요 이슈를 다룬다. 핵심 기술인 하둡을 전반적으로 분석하며 Mongo DB 등 다양한 기술이 포함된다. 하둡기반 프로그래밍에 중점을 둔다. |
37 | DIGB363 | 웹어플리케이션I | 이 과목에서는 클라이언트-side (front-end)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술- HTML5, CSS3, Javascript, jQuery, front-end framework 등)에 대해 공부한다. |
38 | DIGB364 | 웹어플리케이션II | "이 과목에서는 서버-side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술에 대해 공부한다. 데이터 중심의 서버-side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이고 새로운 웹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 및 기본적인 서버 관리 기능에 대해서도 배운다. " |
39 | DIGB365 | 모바일앱개발 | "이 과목은 모바일 앱 개발에 필요한 기법과 주제들을 다룬다. 하나 이상의 모바일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앱 개발에 초점을 두고 담당 교수가 선택한 플랫폼에 의해 프로그래밍 언어는 정해진다.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앱을 개발하려는 기업, 특히 디지털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스킬을 수강생이 습득하도록 한다, 학생들은 특정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앱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본 프로그래밍 스킬을 학습하며, 수업 시간과 과제들을 통해 앱 개발 방법을 익히게 될 것이다." |
40 | DIGB366 | 의사결정자를위한딥러닝 | "이 강의는 딥러닝 기술의 기본 원리와 이미지, 영상, 자연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yTorch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최첨단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춘 실습 방식을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졸업 후 직면할 복잡한 실제 데이터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찾는 데 필요한 실무 기술과 지식을 갖추도록 준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강의를 통해 최첨단 기술과 비즈니스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학생들이 비즈니스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41 | DIGB367 | e-커머스전략 | "e-커머스 전략은 제품 및 서비스를 국내 및 국외에 판매할 수 있도록 e-커머스 이론에 대해 학습하고 직접 판매해보는 실습형 수업이다. IT환경이 진화함에 따라, e-커머스에 대한 관심도와 사회적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과정에서는 학문적 지식과 실제 판매 경험의 융합을 통해 전략적인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
43 | DIGB368 | 데이터기반개인화전략과추천시스템 | "본 과목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다양하게 응용되는 추천시스템의 개념과 기법에 대해 다룬다. 추천시스템의 원리와 응용분야, 협업필터링을 포함한 전통적인 알고리즘부터 딥러닝 기반의 추천시스템 알고리즘까지 다양한 추천시스템 알고리즘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데이터 유형, 산업적 특성, 고객의 니즈에 맞는 추천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게 된다. " |
44 | DIGB413 | 신흥기술 | "본 과목에서는 IoT 등 디지털 분야에 미래 전망이 아주 밝은 새롭게 부각되는 기술에 대해 살펴본다. " |
45 | DIGB415 | 디지털플랫폼과창업 | "‘디지털 플랫폼과 창업’은 글로벌 셀링을 위해 e-커머스 플랫폼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특정 제품 및 서비스를 국내/외에 판매할 수 있도록 e-커머스를 활용하여, 비즈니스화 하기 위한 실습형 수업이다. " |
46 | DIGB416 | 고급비즈니스어낼리틱스 | "이 과목은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의 실질적인 구현 방법을 학습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학생들은 각 비즈니스 영역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방법을 익힐 예정입니다." |
47 | DIGB423 | 디지털경영론 | "디지털기술은 산업 및 경쟁 구조를 바꾸거나 기업의 핵심 활동 및 프로세스를 재구성하여 개별 기업은 물론 산업과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이렇듯 막대한 영향력을 감안할 때, 경영진이 디지털기술이 어떻게 기업에 가치를 창출하는 지를 이해하고, 이를 어떻게 관리할 " |
48 | DIGB424 | IT컨설팅 | "IT 컨설팅 주요 사례를 분석을 중심으로 IT 컨설팅의 주요성공요인을 도출한다. IT컨설팅 과제 수행을 통하여 IT컨설팅 의 핵심능력을 배양한다. " |
49 | DIGB432 | 디지털경영컨설팅 | "비즈니스와 정보기술의 결합이 성공적인 비즈니스의 핵심역량으로 대두되면서 디지털 경영 컨설팅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디지털 경영의 주요 성공요인을 분석하며 디지털 경영 프로젝트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컨설턴트의 핵심역량을 개발한다. " |
50 | DIGB441 | 알고리즘투자전략 | "주식 및 채권 포트폴리오 운용이론에 대한 현대 이론을 학습하고 Matlab을 활용하여 이론을 실제로 전개하는 과목이다." |
51 | DIGB444 | 디지털경영세미나 | "디지털경영 분야는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다루어야 할 주제가 수시로 등장한다. 이 과목의 목적은 정규과목에서 다루지 못할 수도 있는 현재 Topic에 대해 논의하고 디지털경영 분야의 특별 세미나를 진행한다. " |
52 | DIGB451 | 현장실습I | "재학생들을 국내외 기업 경영현장에 파견하여 학교에서 배운 디지털 경영이론을 직접 업무에 적용하여 살아있는 디지털 경영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53 | DIGB452 | 현장실습Ⅱ | "재학생들을 국내외 기업 경영현장에 파견하여 학교에서 배운 디지털 경영이론을 직접 업무에 적용하여 살아있는 디지털 경영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54 | DIGB453 | 현장실습Ⅲ | "재학생들을 국내외 기업 경영현장에 파견하여 학교에서 배운 디지털 경영이론을 직접 업무에 적용하여 살아있는 디지털 경영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55 | DIGB461 | 디지털창업프로젝트 | "디지털 기술을 혁신적으로 활용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고안하여 사업 계획을 작성하고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디지털 창업 역량을 키우는 교과목들을 수강하여 습득한 지식을 종합하여 실제로 적용하는 경험을 갖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