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PHY121, 122, 123, 124, 125프로젝트학기ⅠㆍⅡㆍⅢㆍⅣㆍⅤ 〔3, 3, 3, 3, 3〕
- "정규학기 중 한 학기 동안 기존의 수업 대신 영역의 제약 없이 학생 스스로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창의적이고, 전공과 융합된 과제를 설계하여 이를 수행 학생들의 도전의식을 고취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 진로 선택의 폭 확대에 기여"
-
- SPHY161, 162일반물리학및연습ⅠㆍⅡ 〔3, 3〕
- 자연과학과 공학의 기초가 되는 물리학 전반의 기본적인 개념 이해를 목표로 한다. 고전역학과 파동, 열물리학, 전자기학, 광학, 현대물리학에 대한 기본적인 법칙과 개념을 배우고 자연현 상에 적용하며, 이를 바탕으로 창조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기초를 배운다.
-
- SPHY163, 164일반물리학실험ⅠㆍⅡ 〔1, 1〕
- 일반 물리학에서 배운 내용이 실제 자연현상에서 나타나는 사실을 관찰하여 기존의 습득한 지식으로 논의하고 창의적인 실험과 분석 방법을 익힌다. 순수과학도 및 공학도 모두에게 요구되는 실험 능력을 배양한다.
-
- SPHY165교양물리학및연습 〔3〕
- 자연과학과 공학의 기초가 되는 물리학 전반의 기본적인 개념의 이해를 목표로 한다. 고전역학과 파동, 열물리학, 전자기학, 광학, 현대물리학에 대한 기본적인 법칙과 개념을 배우고 자연현상에 적용하며, 이를 바탕으로 창조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기초를 배운다.
-
- SPHY167교양물리학실험〔1〕
- 교양 물리학에서 배운 내용이 실제 자연현상에서 나타나는 사실을 관찰하여 기존의 습득한 지식으로 논의하고 창의적인 실험과 분석 방법을 익힌다. 순수과학도 및 공학도 모두에게 요구되는 실험 능력을 배양한다.
-
- SPHY170수리과학입문 〔2〕
- 선형 대수, Fourier 급수, 무한급수 등 물리학 및 공학에 필수적인 기초수학을 학습하고 물리학 공부에 필요한 기초적인 수학적 방법을 배운다.
-
- SPHY211수리물리학ⅠㆍⅡ 〔3, 3〕
- 학생들에게 물리학 및 연관 공학에서 필요한 수학의 방법을 학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편미분, 중적분, 벡터해석, 상미분방정식을 포함한다. 수학의 방법을 배우는 동시에 수학을 물리학에 적용시키는 것을 배운다.
-
- SPHY213역학 〔3〕
-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뉴턴역학을 학습하고, 이와 관련된 힘과 에너지의 관계를 학습하고 여러 가지 역학적 물리량의 보존 법칙을 학습한다. 뉴턴역학을 해밀톤의 원리에 의해 재구성한 라그랑지방정식과 해밀톤의 방정식에 대해 논의한다.
-
- SPHY222, 321전자기학ⅠㆍⅡ 〔3, 3〕
- 수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일반물리학 II 내용을 확장할 것이다. 이 교과목에서는 전기장, 전기퍼텐셜, 전기 분극의 개념을 이용하여 진공과 물질 중에서 전기적 특성에 대해서 거시적 관점에서 공부한다.
-
- SPHY242현대물리학및실험 〔3〕
- 이 과목에서는 1900년대 초반에 고전물리학이 설명하지 못했던 여러가지 물리현상을 다룬다.
-
- SPHY251전기회로Ⅰ 〔3〕
- 기초적인 전기 회로 이론을 다룬다. 저항, 유도기, 축전기 등 수동 소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고, 기본 회로 법칙들과 그에 기반한 노드전압법, 망전류법, 테브넌 등가회로 등의 개념 등을 공부한다. 본 과목은 상기 지식들을 다양한 전기회로의 직류 및 과도응답의 해석에 적용한다.
-
- SPHY252전기회로Ⅱ 〔3〕
- 전기회로 I 에서 다룬 기초 회로이론을 바탕으로,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기회로 이론을 공부한다. 위상자를 이용하여 교류 정상 응답을 분석하고 3상 회로를 이해한다. 라플라스 변환을 회로의 과도/정상응답 분석에 이용한다. 신호 필터에 대해 공부하고 푸리에 변환을 회로에 적용한다.
-
- SPHY261, 262전기회로실험ⅠㆍⅡ 〔1, 1〕
- 다양한 회로를 구성하고 그 회로들의 직류 반응을 측정하여, 전기회로 1 과목에서 배운 옴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 테브냉의 정리, 노턴의 정리 등의 이론을 재확인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전기회로와 관련된 물리량들의 적절한 측정 방법을 익힌다. 전기회로 II 과목에서는 공부한 내용을 실험적으로 확인한다. 기본 수동 소자 중 유도기, 축전기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알아보고, 필터 등의 주파수 영역 특성을 가지는 회로에 대해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한다.
-
- SPHY271디스플레이및광센서개론 〔3〕
- 인간의 시각인지능력 및 Vision System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전자정보 디스플레이 및 이미지센서의 기초 원리를 공부하고, 컬러영상의 이해를 위해 기초적인 색체과학을 학습한다. 또한, p-n 접합 다이오드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LED, OLED 및 광다이오드 등을 배운다.
-
- SPHY272기초반도체물리및실습 〔3〕
- 반도체 물리의 기초가 되는 기초 양자역학 이론과 고체물리 이론의 개념을 공부한다. 또한, 반도체 기본 측정 장비의 원리를 공부하고 실습한다.
-
- SPHY280유기물반도체소자 〔3〕
- 유기전자소자의 대표적 3가지 소자인 유기전계발광소자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유기태양전지 (Organic Photovoltaics), 유기박막트랜지스터 (OrganicTFTs)의 소자구조, 재료, device physics 및 응용에 구체적으로 배운다.
-
- SPHY282전자재료물성 〔3〕
- 본 과목은 정보소자에 사용되는, 반도체, 자성체, 파인세라믹, 액정, 초전도체 등과 같은 전자재료들의 물리 화학적 성질과, 소자의 기능과 관련된 전기적인 특성, 안정한 소자의 구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계적인 성질과 열역학적 성질, 그리고 소자 공정에 필요한 물리화를 배운다.
-
- SPHY286AI수치해석 〔3〕
-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를 공부하고, 수치해석 및 수치 계산의 기본이론을 공부한다. 미분 적분, 선형방정식, 행렬, 기초적인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하여 물리계를 다룬다.
-
- SPHY311, 312양자역학ⅠㆍⅡ 〔3, 3〕
- 본 교과목은 소립자에서부터 원자핵, 원자, 그리고 고체에 이르기까지 물질의 제반 현상을 다루는 데 있어 기본 틀을 제공하는 학문이다. 본 강의에서는 양자론이 나오게 된 배경에서 시작하여 양자역학의 기본 가설과 기본 개념, 수학적 구조를 소개한다. 양자역학은 소립자에서부터 원자핵, 원자, 그리고 고체에 이르기까지 물질의 제반 현상을 다루는 데 있어 기본 틀을 제공하는 학문이다. 양자역학1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각운동량, 수소 원자, Matrix Formalism, 행렬 체계, 스핀, 섭동이론, 다체계 이론, 전자기장등을 배운다.
-
- SPHY313, 386광학ⅠㆍⅡ 〔3, 3〕
- 이 교과목에서는 빛과 관련된 기초 광학 이론을 학습한다. 빛의 반사와 굴절, 흡수, 산란을 학습하고 렌즈를 이용한 결상광학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빛의 편광에 대해 학습한다. 광학 I에서 배운 내용을 기반으로 파동 광학 전반에 대해서 공부하고 레이저 광학 및 나노 광학의 기초 개념을 학습한다.
-
- SPHY322통계물리학 〔3〕
- 수많은 입자들이 집단적인 거동현상을 통계학적으로 취급하여 이해하려는 이론 물리학의 한 분야로서, 양자론을 기반으로 한 확률의 개념을 도입하여, 온도, 엔트로피, 열역학에너지 등의 기본량을 정의하고 다른 열역학적 물리량을 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
- SPHY341, 342전자회로ⅠㆍⅡ 〔3, 3〕
- 기초반도체 이론, 다이오드 기본개념 및 응용, 쌍극성 접합형 트랜지스터 (BJT) 개념 및 직류바이어스 회로에 대해 배운다, 다양한 형태의 BJT, 전계효과트랜지스터 (JFET), 금속산화전계반도체효과 트랜지스터 (MOSFET),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연산증폭기 (Op-Amp) 및 응용 등에 대하여 배운다.
-
- SPHY345전자회로실험 〔1〕
- 기본적인 오실로스코프 및 브레드보드 사용법, 저항분류법, 다이오드 특성 및 응용회로,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 (BJT) 특성 및 응용회로, 광전자소자 회로 등을 공부한다.
-
- SPHY361가속기물리 〔3〕
- 입자 가속기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물리학의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가속기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빔 운동, 가속기 설계 및 산업/의료 분야에 가속기 응용에 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
- SPHY371반도체물리 〔3〕
- 반도체 device와 fabrication 기술의 물리적 원리와 그 특성을 물리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그 응용으로 응용물리, 전기 및 전자공학, 재료과학과 어떻게 연관되었는지를 배워서 실생활에 적용도록 한다.
-
- SPHY373영상처리반도체개론 〔3〕
- Color science, 이미지 표현 및 처리 알고리즘 및 분석 기술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의 핵심내용을 학습하고, 컬러정보 및 적외선 정보 등의 이미지 신호 처리를 위한 카메라와 특수 목적 영상센서 등과 관련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에 대하여 이해한다.
-
- SPHY375반도체공정및실습캡스톤디자인 〔3〕
-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공학의 기본이 되는 반도체, 금속 물질의 증착, 리소그라피, 식각, 전선배선 등의 공정과정을 배운다.
-
- SPHY376반도체소자 〔3〕
- 전자기학 및 반도체물리에서 습득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반도체 pn 접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의 동작원리를 습득하고, 광센서, 태양전지를 포함한 수광소자와 LED 및 Laser로 대표되는 발광소자의 구조와 작동 메커니즘을 이해한다.
-
- SPHY377컴퓨터응용설계및실습(CAE) 〔3〕
- 다중물리현상과 관련된 지배방정식을 학습하고 이와 관련된 열전파, 구조변형, 전자기파의 흡수 등 제반 현상을 모델링하고 수치 기법을 통하여 모사 실습 한다.
-
- SPHY379반도체계면공정 〔3〕
- 반도체 진공성막 공정 중 화학진공증착과 관련된 물리적 화학적 현상 이론을 배우며, 특히 기체운동론, 반응속도, 반응동역학, 고체계면 process에 관한 이론을 학습한다. 이를 기반으로 화학기상증착 (CVD)와 원자층증착 (ALD) 공정 원리를 배운다.
-
- SPHY380나노소재및소자 〔3〕
- 나노기술의 기초지식을 배우고 나노소재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및 광학적, 전기적 성질을 이해하고 디스플레이, 반도체, 에너지 등에 적용되는 소재, 부품, 공정 등 다양한 응용소자분야에 대해 공부하는데 목적이 있다.
-
- SPHY382전자기파와에너지 〔3〕
- 전자기파의 특성과 복사 및 도파로에 대해서 공부한다.
-
- SPHY384박막반도체소자및공정 〔3〕
-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물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양방향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3차원 적층 가능한 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재료, 소자 물리 및 평가 방법에 대해서 다룹니다.
-
- SPHY388센서소재,소자및실험 〔3〕
- 센서 소재, 소자의 원리와 물리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한 센서 소자의 작동 원리, 구동기술, 응용에 관련된 내용을 공부한다. 또한, 센서 공정의 이론 교육과 실험을 통해 배우고, 차세대 센서 개발동향을 공부한다.
-
- SPHY411열물리학 〔3〕
- 개별입자들의 운동을 기술하는 것이 아닌 통계적 접근을 통해 거시적인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열물리학의 기본이다. 이 과목을 통해 열역학 법칙들을 이해하고 엔탈피와 자유에너지 개념을 통해 화학반응이나 열기관의 작동원리를 이해한다.
-
- SPHY421, 424고체물리학ⅠㆍⅡ 〔3, 3〕
- 본 강의에서는 결정체 구조를 갖는 물질의 구조와 연관된 다양한 현상에 대해 탐구한다. 고체물질의 결정, 결합 메커니즘과 열적, 전기적 특성, 기초 전자구조 이론, 페르면의 개념을 공부한다, 응집 물질의 자기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에 대해서 공부한다. 이를 통해서 초전도체, 자성체, 유전체의 메커니즘을 이해한다.
-
- SPHY431, 432첨단과학세미나ⅠㆍⅡ 〔1, 1〕
- 반도체나 레이저, 초전도 등에서와 같이 응용물리학은 그 방향이나 형식, 개념에 있어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물리학과 연관된 다양한 적용에 대해 탐구한다.
-
- SPHY441기업밀착형연구실험 〔2〕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관련 심화 학습을 이수한 학생의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전임교수의 직접지도를 받는다. 기업에서 선호하는 연구주제를 지도교수와 학생이 논의하여 자유학습형태로 연구하고, 학기말에 교수의 평가를 받는다.
-
- SPHY442미래기술연구실험 〔2〕
- 디스플레이 반도체 물리 전공을 교육받은 학생의 미래 기술에 대한 이해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임교수의 직접지도를 받는다. 미래 기술과 관련된 연구주제를 지도교수와 학생이 논의하여 자유학습형태로 연구하고, 학기말에 교수의 평가를 받는다.
-
- SPHY453, 454, 455첨단과학세미나ⅠㆍⅡㆍⅢ 〔3, 3, 6〕
- 반도체물리 및 디스플레이융합 전공을 이수한 학생이 전공과 연관성이 있는 기업에 인턴 사원으로 근무하며 전문성 강화와 취업등 사회 훈련을 경험하는 과목이다. MOU가 체결된 기업이나 외부 기관에서 최소 2개월 이상 인턴 사원으로 근무하며, 근무평가를 기반으로 평가를 진행한다.
-
- SPHY461양자물질개론 〔3〕
- 초전도 물질의 기본 특성을 이해하고 초전도 양자간섭 장치 등의 응용 분야를 공부한다. 또한, 다양한 에너지 응용 관련 물질과 위상 물질의 기본 특성을 공부한다.
-
- SPHY462자성물리학 〔3〕
- 전자기학, 양자역학, 열및통계역학에서 배운 전자기장과 스핀의 상호작용이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공부한다. 전자의 스핀이 자석으로 나타나는 원리를 공부하고, 전자 스핀의 흐름을 이용한 전자스핀공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소개한다.
-
- SPHY471유기물반도체공정캡스톤디자인 〔3〕
- 유기반도체의 원리와 물리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한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소자의 작동원리, 효율, 구동기술 등 디스플레이 적용에 관련된 내용을 공부한다. 또한 능동형 OLED 제조에 필요한 OLED Cell 및 Backplane 공정을 이론교육과 실험을 통해 배운다.
-
- SPHY477공정플라즈마개론 〔3〕
-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 반도체 소재를 나노 (nm) 단위 정밀도의 공정을 통해 소자로 만들어지는 첨단 디바이스의 경우 플라즈마 공정 및 장비를 필수적으로 사용함. 공정 플라즈마로서 저온 플라즈마 물리를 심도 있게 학습하고, 대표적인 플라즈마 공정인 PECVD등을 배운다.
-
- SPHY478플라즈마공정및장비 〔3〕
- 반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 반도체 소재를 나노 (nm) 단위 정밀도의 공정을 통해 소자로 만들어지는 첨단 디바이스의 경우 플라즈마 공정 및 장비를 필수적으로 사용함. 선행 학습된 저온 플라즈마 물리의 이해를 토대로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전력 네트워크등을 배운다.
-
- SPHY479진공물리학 〔3〕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의 핵심기초가 되는 진공에 대해 배운다.
-
- SPHY480진공공정장비캡스톤디자인 〔3〕
-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 반도체 소재를 나노 (nm) 단위 정밀도의 공정을 통해 소자로 만들어지는 첨단 디바이스의 경우 진공을 기반으로 하는 플라즈마 공정장비 및 EUV 노광장비를 필수적으로 사용함. 이와 관련된 공정장비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폭넓은 응용 능력을 기른다.
-
- SPHY482양자컴퓨팅개론 〔3〕
- 양자정보이론의 기본적인 개념과 기술적인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양자상태가 어떻게 정보전달에 이용될 수 있으며, 소음에 대해 보호될 수 있는지를 공부한다. 이를 위해 양자연산의 구조, 양자소음의 성질, 양자정보의 측정, 엔트로피와 정보이론, 양자 얽힘, 양자암호등을 배운다.
-
- SPHY484메모리소자 〔3〕
- 컴퓨터에 사용되는 하드디스크, 메탈테이프, CD-ROM 등의 보조저장장치와 DRAM, SRAM, FRAM, MRAM 등 메모리의 동작원리와 핵심 소자 제작기법을 공부한다.
-
- SPHY486반도체디바이스패키징 〔3〕
- 반도체 후공정의 하나인 반도체패키징 기술은 반도체 소자 조립 기술을 말하며, 지능형 컴퓨팅 환경 구현을 위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의 핵심이 되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반도체패키징 기술의 기능, 공정, 재료, 디바이스 시스템 구조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3D 패키징등을 배운다.
-
- SPHY488무제강좌 〔3〕
- 학과에서 중요한 현대사회의 특정 주제나 그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공부한다.